본문 바로가기

한국 하둡 커뮤니티 두 번째 모임을 다녀왔습니다 한국 하둡 커뮤니티 구글 그룹스 첫 번째 세션은 한재선 박사님께서 (NexR) 'Naive Bayes Classifier를 이용한 Spam Filtering의 MapReduce 구현' 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해주셨습니다. 실제 돌아가는 환경에서 시연도 해주셨고요.. 물론 MapReduce 시연이라면 아시는 분들은 다 아시겠지만, MapReduce결과 로그와 vi 로 결과 파일을 읽는 것 밖에는 없지만 말입니다. 이러한 부분 외에도 기계학습을 분산환경에서 쉽게 운영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고 계신다는 소식과 더불어, 조만간 그러한 서비스 환경을 일반인에게도 공개한다는 언급도 하셨습니다. 가상화를 통하여 제한된 환경이긴 합니다만, 분산환경을 접하기 힘든 개발자 입장에서는 희소식이 아닐 수 없겠습니다. 또, .. 더보기
그래서 행렬을 쓰면 뭐가 좋은거죠? 이제는 좀 더 실용적인 측면을 고려해보려고 합니다. 어디에다 쓰는 물건인가? -_-;;; 먼저 행렬의 곱셈은 어떻게 하는지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행렬의 곱셈은 아래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수행합니다. 행 X 열 !! 위키피디어에 좋은 그림이 있어서 발췌했습니다. Matrix Multiplication In mathematics, matrix multiplication is the operation of multiplying a matrix with either a scalar or another matrix. This article gives an overview of the various ways to perform matrix multiplication. 이제는 좀 더 실질적인 예를 들자면, 행렬의.. 더보기
그러면 행렬과 선형대수는 무슨 관계죠? 지난 글에 이어서 이번에는 선형대수에 대한 정리를 간략하게 하고 있습니다. "'알기쉬운 선형대수'라는 책에서는 연립1차 대수적 방정식과 이들의 해는 '선행대수'라는 과정에서 공부하게 됩니다." 라고 되어있네요... '선행대수'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잘 쓰지 않는 용어 같습니다. 오히려 '선형대수'라는 표현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 같고요. 어쨌거나 의미상으로 '선형대수'라는 것은 Linear Algebra 즉, 1차원 대수학만을 의미하는 것 같긴 합니다. '선행대수'라고 하는 것은 오타같기도 합니다. 선형대수학이란? 선형대수학(線形代數學)은 벡터 공간, 벡터, 선형 변환, 행렬, 연립 선형 방정식 등을 연구하는 대수학의 한 분야이다. 현대 선형대수학은 그 중에서도 벡터 공간이 주 연구 대상이다. 추상대.. 더보기